심리학이론

혁신확산이론

hengsshow - 심리학 2023. 6. 21. 13:35
반응형

혁신 확산 이론은 새로운 제품이나 기술, 서비스를 도입할 때 사용되는 이론입니다.

도입 시 내부적인 과장을 설명하기에 아주 유용합니다.

 

목차

  • 혁신 확산 이론 서론
  • 혁신 확산 이론 배경 및 이해
  • 혁신 확산 이론 결론

1. 혁신확산이론의 서론

혁신확산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 : IDT)은 새로운 기술 혹은 정보들이 사람들에 의해 수용되는 현상을 설명한 이론이다.

 

혁신(革新)은 표준국어 대사전에 명시되어 있기를 묵은 풍속, 관습, 조직, 방법 따위를 완전히 바꾸어서 새롭게 함이라는 하는데, Rogers, E. M이 제시한 innovation은 사회 혹은 집단에 새롭게 도입되는 제도뿐만 아니라 구체적 물리적, 새로운 기술 등을 모두 innovation으로 규정하고 있어서 개혁보다 혁신으로 해석된다.

 

이론에 따른 혁신이란 잠재적으로 수용이 가능한 집단에게 있어서 새롭게 인지되는 아이디어, 사물, 개념 등으로 정의하고 있고, 확산은 해당되는 누군가에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정 채널을 통하여 전파되는 프로세스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혁신확산이론은 기업 또는 사회 내에서 IT 기술의 전파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즉, 새로운 IT 기술의 효과적인 도입, 확산, 사용 및 관리에 대한 정책의 방향을 제공하는데 혁신확산이론이 기여한다고 하였다.

 

2. 혁신확산이론의 배경 및 이해

Rogers는 1962년 혁신의 확산(한국어 출판본은 『개혁의 혁신』으로 출간)이라는 저서를 통해 이 이론을 처음 제시하였고, 그 후 1971년 Shoemaker와 함께 혁신확산과정의 특성으로 상대적 이점, 적합성, 복잡성, 사용가능성, 관찰 가능성 등 5가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5가지 특성에 부합하여 새로운 혁신이 채택되어 가는 과정을 Rogers는 혁신을 수용하는 사람의 관점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소비자들이 혁신을 수용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즉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술, 기법 등 혁신이 어느 사회 체제에 확산되어 가는 과정은 이를 수용하는 사람들에 따라 초기에 받아들여지거나, 망설이거나, 받아들이지 않는 등 다양한 수용자 형태로 인해서,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난 후에 채택될 수도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Rogers는 혁신의 확산이란 혁신을 수용하는 주체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혁신을 수용하게 만든다고 하였다.

혁신수용 의사결정 과정을 ①지식 단계, ②설득 단계, ③결정 단계, ④실행 단계, ⑤확인 단계로 발생한다고 하였다. 즉, 혁신의 채택과정이 단계별로 진행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혁신 제품 및 기술에 대한 불확실성이 줄어든다고 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식 단계(knowledge)는 혁신을 수용하는 사람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사회심리적 특성 등을 바탕으로 대중매체나 인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혁신의 기능이나 지식을 가지게 되는 단계이다.

 

설득 단계(persuasion)는 지식 단계에서 생긴 새로운 제품이나 기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혁신에 대한 채택 여부와 태도를 형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결정 단계(decision)는 설득 단계에서 채택되더라도 추후에 거부될 수 있고, 거부되었다 다시 채택이 될 수 있는 등 모든 결정 과정에서 채택과 거부는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을 경험하는 단계가 결정 단계이다.

 

실행 단계(implementation)는 새로운 혁신에 대한 대상을 채택하기로 결정한 후, 새로운 혁신에 해당하는 기술이나 기능을 실제로 사용하는 행동이 일어나는 단계이다.

 

확인 단계(confirmation)는 새로운 혁신에 대한 대상을 채택하기로 결정한 자신의 행동이 바람직한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때 최종 결과에 따라 채택을 번복할 수도 있으며, 때로는 혁신에 대한 태도와 실제 자신의 행동 간의 불일치로 인한 인지부조화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하였다.

 

혁신수용시점에 따른 혁신 수용자의 유형 혁신수용자의 유형별 자세히 살펴보면

첫째, 혁신자(innovator) 집단이다. 이는 전체시장에서 2.5% 규모를 차지하며, 이들은 모험적이고 혁신을 수용하고자 하는 성향이 강하므로 신제품이나 혁신 수용에 수반되는 위험을 감수하려는 경향이 강한 집단이다.

 

둘째, 조기수용자(early adopter) 집단이다. 이들 집단은 전체시장의 13.5% 정도 차지하고 있는 의견 선도자 역할을 하는 집단이 다.

 

셋째, 조기다수자(early majority)와 후기다수자(late majority) 집단이다. 이들은 혁신적인 제품이나 기술과 신제품을 수용하는데 의심이 많기 때문에 조기다수자 등을 포함하여 다수가 도입한 이후에 구입하는 경향이 강한 사람들이다.

 

넷째, 최후수용자(laggard) 집단이다. 이들은 변화를 원하지 않고 혁신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강한 집단으로서 신제품이나 신기술 등이 시장에서 완전히 수용된 이후에 해당 제품을 구매하는 집단이다.

 

3. 혁신확산이론의 결론

이와 같이 혁신확산이론은 새로움이라는 새로운 혁신을 수용자가 체감하는 수용과 채택과정을 설명한 모델로 불 수 있으며 특히 2000년대 이후에는 정보 기술이나 대중매체, 온라인과 인터넷 등과 같이 IT기술의 확산과 채택이 혁신 확산 이론을 설명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반응형

'심리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릭슨의 발달단계이론  (0) 2023.06.24
아론 벡의 인지치료 이론  (0) 2023.06.23
주체와 타자의 인식론  (0) 2023.06.21
레온 페스팅거의 인지부조화이론  (0) 2023.06.20
융의 분석심리학이론  (0) 2023.06.20